Python
28 posts
Python - 파일 크기 확인

파이썬에서 파일, 디렉토리(폴더) 크기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파일 크기 확인 는 의 크기를 바이트 단위로 리턴합니다. 이 함수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파일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 예제는 파일의 크기를 가져오는 예제입니다. 실행 결과 2. 디렉토리(폴더) 크기 확인 디렉토리는 하위에 파일과 디렉토리 등을 갖고 있습니다. 하위 경로를 모두 탐색하면서 파일의 크기를 계산하면 디렉토리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아래 두개 함수를 이용하여, 아래 예제와 같이 특정 디렉토리(예제에서는 )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예제는 바이트 단위의 크기를 MB 단위로 변환하였습니다. : 경로 하위의 파일들을 반복문으로 순회합니다. for문 안에서 모든 하위 파일들의 이름과 경로를 알 수 있습니다. : for문에서 파일들을 순회하면서 크기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실행 결과

Python - 리스트 랜덤 추출, 선택

리스트의 요소들을 무작위(Random)로 선택하는 방법을 예제를 통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리스트에서 랜덤으로 1개의 요소 추출 은 리스트에서 1개의 요소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리스트로 리턴합니다. 아래 예제를 보시면, 1개의 요소가 추출되며 리스트로 리턴됩니다. 또한, 원본 리스트에서 무작위로 추출된 값이 삭제되지도 않습니다. 실행 결과 2. 리스트에서 랜덤으로 3개의 요소 추출 (중복 허용 안함) 만약 3개의 요소를 랜덤으로 샘플링하고 싶을 때는 처럼 3을 입력하면 됩니다. 그리고, 는 중복된 값을 추출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3개를 추출할 때 확률에 따라서 이 추출될 수 있지만 내부적으로 이런 것을 허용하지 않도록 구현되어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아래 예제처럼, 3개의 요소가 무작위로 추출되어 리스트로 리턴됩니다. 또한 원본 리스트의 값들은 변하지 않습니다. 실행 결과 랜덤 추출한 요소들을 원본 리스트에서 제거 랜덤으로 추출한 요소들을 원본 리스트에서 제거하고 싶…

Python - 랜덤 리스트 만들기

리스트에 랜덤 정수, 실수 숫자가 들어있는 리스트 생성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원하는 리스트의 길이와, 숫자 범위를 입력하여 랜덤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1. 랜덤 리스트 생성 (정수) 는 인자로 전달된 범위에서 무작위로 1개의 숫자를 추출합니다. 아래와 같이 리스트 컴프리헨션으로 반복하여 원하는 길이의 랜덤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실행 결과 2. 랜덤 리스트 생성 (실수) 은 0에서 1사이의 랜덤 실수를 추출합니다. 아래와 같이 0에서 1사이의 랜덤 실수로 이루어진, 특정 길이의 랜덤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실행 결과 3. 지정된 범위의 랜덤 리스트 생성 (실수) 는 인자로 전달된 범위의 랜덤 실수를 추출합니다. 아래와 같이 반복 추출하여 특정 길이의 랜덤 실수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실행 결과

Python 리스트 append()와 extend() 차이점

리스트에 append()와 extend() 함수가 있는데, 큰 차이점은 는 요소 1개를 리스트의 끝에 추가하고, 는 어떤 리스트가 갖고 있는 모든 요소를 리스트의 끝에 추가하는 것입니다. 두 함수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예제와 함께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list.append() 함수는 인자로 전달된 요소 값을 리스트의 끝에 추가합니다. 실행 결과 2. list.extend() 함수는 리스트에 인자로 전달된 의 모든 요소들을 기존 리스트에 추가합니다. 새로운 리스트의 요소들은 기존 리스트의 끝에 순차적으로 추가됩니다. 실행 결과

Python - 리스트 얕은 복사, 깊은 복사

리스트를 copy할 때, 얕은 복사 방법과 깊은 복사 방법을 이용하여 copy할 수 있습니다. 예제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1. 얕은 복사 (Shallow copy) 얕은 복사는 리스트 객체를 복사하지만, 리스트 안에 저장된 요소 객체들은 복사하지 않고 함께 참조하는 것을 말합니다. 원본 리스트와 복사된 리스트에서 동일한 요소 객체를 참조하기 때문에, 요소 내부의 값이 변경되면 원본 리스트와 복사된 리스트에서도 변경된 값을 참조하게 됩니다. 아래 예제는 함수를 사용하여 얕은 복사를 하는 예제인데, 결과를 보시면, 복사된 리스트의 값을 변경해도 원본 리스트의 값도 함께 변경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실행 결과 슬라이싱을 이용한 얕은 복사 아래 처럼 슬라이싱을 이용하여 얕은 복사를 할 수 있습니다. 실행 결과 2. 깊은 복사 (Deep copy) 깊은 복사는 리스트 뿐만 아니라, 리스트가 참조하는 요소 객체도 복사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복사된 리스트의 요소 값을 변경…

Python - 문자열 비교하기

파이썬에서 두개의 문자열이 같은지 다른지 비교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 또는 != 연산자로 비교 연산자는 두개의 문자열이 같을 때 True를 리턴합니다. 아래와 같이 두개의 문자열이 같은지, 다른지 비교할 수 있습니다. 실행 결과 연산자는 두개의 문자열이 다를 때 True를 리턴합니다. 실행 결과 대소문자 구분 없이 비교 , 는 대소문자를 구분하여 비교합니다. 만약 대소문자 구분 없이 비교하고 싶을 때는 를 사용하여 두개의 문자열을 모두 소문자로 변환하고 비교를 하면 됩니다. 실행 결과 2. in, not in 키워드로 비교 은 문자열이 다른 문자열에 포함되어있을 때 True를 리턴합니다. str1이 str2에 포함되어있으므로 True가 리턴됨 실행 결과 반대로, 은 문자열이 다른 문자열에 포함되지 않았을 때 True를 리턴합니다. 실행 결과 3. startswith(), endswith()로 비교 는 문자열 str1이 문자열 str2로 시작할 때 True를…

Python 바이트를 문자열로 변환

파일이나 네트워크로 전달된 바이트 데이터를 문자열로 변환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1. str()으로 bytes를 string으로 변환 는 bytes를 encoding 방식의 문자열로 변환합니다. 바이트가 의 방식의 문자열이라면, 아래와 같이 String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Output: 2. decode()로 bytes를 string으로 변환 는 bytes를 encoding 방식의 문자열로 변환합니다. 바이트가 방식의 문자열이라면, 아래와 같이 String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Output:

Python 버전, 설치 위치 확인

파이썬 버전, 설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1. 터미널에서 파이썬 버전 확인 Windows, Mac, Linux 등, 어떤 운영체제에서든지 터미널에 명령어를 입력하면 현재 설정된 파이썬의 버전이 출력됩니다. python을 찾을 수 없다고 나오면 PATH에 설치된 파이썬의 경로를 등록해줘야 합니다. 2. 터미널에서 파이썬 설치 위치 확인 Ubuntu 같은 리눅스 계열에서 명령어를 입력하면 PATH에 등록된 파이썬의 설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통 이런 경로는 링크로 연결되어있기 때문에, 등으로 심볼릭 링크 파일이 어떤 경로로 연결되어있는지 몇번 확인해야 합니다. 저의 경우, 는 로 연결되어있네요. 설치된 파이썬 버전을 바꾸고 싶다면 PATH에서 기존 경로를 삭제하고 다른 버전의 설치 위치를 추가하시면 됩니다. 링크로 연결된 경우, 연결된 경로를 다른 버전으로 바꾸셔도 됩니다.

Python 두개의 리스트 하나로 병합

파이썬에서 두개의 리스트를 하나로 합칠 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들을 소개합니다. 1. + 연산자로 리스트 병합 아래와 같이 연산자를 이용하여 두개의 리스트의 모든 요소들을 새로운 리스트에 병합할 수 있습니다. list3는 list1과 list2의 모든 요소들을 갖고 있게 됩니다. 하나로 합쳐진 리스트를 다시 정렬하고 싶을 때는 를 호출하면 요소들이 정렬됩니다. Output: 2. extend()로 리스트 병합 는 list2의 모든 요소들을 list1에 추가합니다. 위의 + 연산자를 이용한 방법은 기존 객체의 데이터가 변경되지 않지만, 는 list1이 변경됩니다. 즉, 합치기 전의 list1 객체가 필요하다면 따로 복사해두어야 합니다. 또는 + 연산자를 이용한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Output: 3. map()을 이용하여 2차 리스트 병합 아래와 같이 list1과 list2는 2중 배열(리스트)입니다. map을 이용하여 n번째 요소 리스트끼리 병합할 수 있습니다. Out…

Python 문자열에서 숫자 추출

문자열에서 숫자를 추출하는 다양한 방법을 소개합니다. 1. re.sub() 함수로 숫자 추출 는 아래와 같이 3개 인자를 받으며, string에서 pattern과 일치하는 부분을 repl로 교체합니다. 를 이용하면, 패턴으로 숫자가 아닌 문자들을 찾아서 으로 변경하여 제거하여 숫자만 남길 수 있습니다. 이런 방식으로 숫자만 추출할 수 있습니다. Output: 2. re.findall() 함수로 연속적인 숫자 추출 은 문자열에서 pattern에 해당하는 내용을 리스트에 추가하고, 그 리스트를 리턴합니다. 이 함수를 이용하면 연속적인 숫자만 추출할 수 있습니다. Output: 3. re.findall() 함수로 숫자 낱개로 추출 패턴은 숫자 1개를 의미합니다. 이 패턴을 사용하면 숫자 1개씩 찾아서 리스트에 추가하게 됩니다. Output:

Python 숫자(int/float)를 문자열로 변환

int 또는 float 타입의 객체를 String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즉, 숫자를 문자로 변환하여 String 타입의 객체로 만듭니다. 1. str()을 이용하여 숫자를 문자열로 변환 은 인자로 전달된 int 또는 float 객체를 문자열로 변환합니다. Output: 2. format()을 이용하여 숫자를 문자열로 변환 을 이용하면 int, float 타입 객체를 문자열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Output: 3. f-string을 이용하여 숫자를 문자열로 변환 과 같은 방식으로, 을 이용하여 int, float을 문자열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Output:

Python JSON 파일 읽고 쓰기

JSON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Python에서 JSON 파일을 읽고 쓰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JSON 이란? JSON은 JavaScript Object Notation의 약자로, JavaScript에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JavaScript 뿐만 아니라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합니다. JSON은 데이터를 문자열 형태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JSON은 다음과 같이 key-value 형태로 데이터를 갖고 있습니다. 여기서 value는 문자열, 숫자, 배열, Boolean 등이 될 수 있습니다. 2. JSON 파일을 읽고 데이터를 객체로 변환 파이썬에서 JSON 파일의 데이터를 읽어서 파이썬의 딕셔너리, 리스트 객체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파일은 아래와 같은 JSON 데이터를 갖고 있습니다. 위의 JSON 파일은 아래와 같은 코드로 읽어 파이썬 객체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은 JSON 파일을 읽고 객체로 리턴하는 함수입니다.…

Python 비어있는(empty) 리스트 확인

리스트가 비어있다는 것은 어떤 요소도 갖고 있지 않다는 의미입니다. 리스트가 비어있는지 체크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소개합니다. 1. if로 비어있는 리스트 확인 로 empty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리스트가 비어있으면 false를 리턴하며, 그렇지 않으면 true를 리턴합니다. Output: 2. len() 함수로 비어있는 리스트 확인 는 list의 길이를 리턴합니다. 즉, 리스트가 비어있으면 0을 리턴하며 이것으로 비어있는지 체크할 수 있습니다. Output: 3. []와 같은지 비교하여 비어있는 리스트 확인 리스트를 와 같은지 비교하여 리스트가 비어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파이썬스럽지 않기 때문에 이렇게 체크할 필요는 없습니다. Output: 4. in으로 리스트에 어떤 요소가 있는지 확인 리스트가 비어있는지 중요하지 않고, 어떤 요소가 리스트 안에 있는지 체크할 때가 있습니다. 이 때는 아래와 같이 를 사용하셔서 체크할 수 있습니다. 리스트에 어떤 요소가 있다면…

Python List를 String으로 변환

파이썬에서 리스트를 문자열로 변환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1. join() : 리스트를 문자열로 변환 은 인자로 전달된 리스트의 모든 요소를 하나의 문자열로 연결합니다. 요소들을 연결할 때 string이 추가됩니다. 예를 들어, string이 이라면 요소들간에 whitespace 1개가 추가되면서 연결됩니다. Output: 2. join() + Comprehension : 문자열과 숫자가 있는 리스트를 문자열로 변환 만약 리스트에 문자열과 int, float 등의 숫자가 포함되어있다면, 먼저 숫자를 String으로 변환하고 그 다음에 으로 모든 요소들을 하나의 문자열로 만들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join()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합니다. List comprehension을 사용하면 비교적 적은 코드로 숫자를 문자로 변환하면서 을 할 수 있습니다. Output: 3. join() + map() : 문자열과 숫자가 있는 리스트를 문자열로 변환 과 을 이용하면 위의 List comp…

Python 파일 읽고 쓰기

파이썬에서 파일 생성, 열고 닫는 방법을 설명하고, 파일에 텍스트 등의 데이터를 읽고 쓰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1. 파일 생성 (Open, Close) 파일을 읽거나 쓰려면 먼저 파일을 열어야 합니다. 함수는 어떤 경로의 파일을 엽니다. 만약 파일이 존재하지 않으면 파일을 생성하고 엽니다. open() 함수는 인자로 파일 이름(경로)과 파일 접근 모드(Access mode)를 전달합니다. open(“File name”, “Access mode”) 아래 코드는 현재 작업 경로 아래에 “TextFile.txt”라는 이름으로 파일을 쓰기 모드로 엽니다. 쓰기 모드로 열면 파일에 텍스트 등의 데이터를 쓸 수 있습니다. 아래 코드는 “TextFile.txt”라는 이름으로 파일을 읽기 모드로 엽니다. 열기 모드는 읽기만 가능하고 쓰기는 안됩니다. 아래와 같이 파일의 절대 경로를 입력하면 현재 디렉토리가 아닌, “/home/js/test/TextFile.txt”의 파일을 엽니다. 파일을 열어…

Python 문자열에서 특정 문자 제거

replace()와 정규표현식을 사용하여 문자열에서 특정 문자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1. replace()를 이용하여 특정 문자 제거 는 문자열에서 old에 해당하는 문자열을 new로 변경합니다. replace()를 이용하면, 어떤 문자 또는 문자열을 로 변환하여 제거할 수 있습니다. 아래 예제는 문자열에서 를 모두 로 변환하여 제거하는 예제입니다. Output: 만약 특정 문자를 제거하고, 대신 다른 문자를 추가로 입력하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문자열을 변환하시면 됩니다. Output: 2. 정규표현식(Regex)을 이용하여 특정 문자 제거 는 문자열 str에서 regex의 패턴을 찾고, 패턴과 일치하는 내용을 replacement로 변경하는 함수입니다. 와 같은 방식으로, 특정 문자 또는 문자열을 으로 변환하여 삭제할 수 있습니다. 아래 예제는 문자열에서 를 으로 변환하여 삭제하는 예제입니다. Output: 위의 예제는 정규표현식의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문자열 매칭만 사용하였는…

Python에서 Shell 명령어, 스크립트 실행

파이썬에서 쉘 명령어를 실행하여 결과를 출력하거나 프로그램에서 결과를 받을 수 있습니다. 또는, 로컬에 저장된 쉘 스크립트 파일을 파이썬에서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1. 파이썬에서 Shell 명령어 실행 파이썬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쉘 명령어를 실행하고, 실행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1 os.system() 는 인자로 전달된 쉘 명령어를 실행하고 결과를 콘솔에 출력합니다. 1.2 os.popen() 은 인자로 전달된 쉘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결과는 리턴되는 stream으로 읽을 수 있습니다. 화면에 출력하려면 를 사용해야 합니다. 1.3 subprocess.run() 은 인자로 전달된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명령어 인자는 아래와 같이 문자열 배열로 전달해야합니다. 실행 결과는 콘솔에 출력됩니다. 만약 실행 결과를 콘솔에 바로 출력하지 않고 프로그램에서 받고 싶을 때는, 아래와 같이 인자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만약 쉘 명령어는 실행하지만 결과는 콘솔에 출력하고 싶지 않을 때, …

Python split(), 문자열 분리

파이썬에서 String은 split() 함수를 제공하며, 문자열을 구분자를 기준으로 여러 문자열로 분리할 때 사용합니다. 은 아래와 같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인자로 구분자(separator)와 최대로 분리할 회수(maxsplit)을 전달합니다. 1. split(): 문자열을 공백(whitespace)으로 분리 처럼 모든 인자를 생략하면 문자열을 공백(whitespace)을 기준으로 여러 문자열로 분리합니다. 분리된 문자열은 리스트에 저장되어 리턴됩니다. Output: 2. split(separator, maxsplit): 문자열을 comma로 분리 아래와 같이 구분자로 를 전달하면, 문자열을 comma 기준으로 모두 분리하고 리스트로 리턴합니다. Output: 만약 처럼 최대 분리 회수(maxsplit)로 1을 전달하면, 문자열을 comma로 1회만 분리합니다. 분리되지 않고 남은 문자열은 리스트에 추가되고 리턴됩니다. Output: 만약 maxsplit을 0으로 설정하면, 은 문자…

Python 딕셔너리 정렬

딕셔너리는 key-value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료형입니다. 딕셔너리를 어떤 순서로 정렬할 때 key를 기준으로 정렬하거나, value를 기준으로 정렬할 수 있습니다. 1. 딕셔너리 오름차순/내림차순 정렬 (key 정렬) 1.1 오름차순 아래와 같이 함수를 이용하여 딕셔너리를 정렬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key를 기준으로 정렬하며, 오름차순으로 정렬됩니다. Output: 1.2 내림차순 내림차순으로 정렬하려면 함수에 인자로 를 전달해야 합니다. 역순으로 정렬한다는 의미인데, 기본적으로 오름차순으로 정렬되기 때문에 역순은 내림차순이 됩니다. Output: 2. 딕셔너리 오름차순/내림차순 정렬 (value 정렬) 딕셔너리를 정렬할 때, key 대신에 value를 기준으로 정렬하고 싶을 때 에 어떤 것으로 정렬할 것인지 알려줘야 합니다. 아래 예제에서 key 인자가 어떤 것으로 정렬할 것인지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와 같이 인자를 전달하면 value를 기준으로 정렬합니다. …

Python 문자열에 특정 문자열 포함하는지 확인

문자열에 특정 문자열 포함하는지 확인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1. ‘in’ 키워드로 문자열 포함 여부 확인 은 문자열 ABC가 문자열 str 안에 있을 때 true를 리턴합니다. 은 의 부정으로, 특정 문자열이 존재하지 않을 때 true를 리턴합니다. Output: 2. find()로 문자열 포함 여부 확인 는 문자열에 ABC가 있을 때 ABC의 Index를 리턴합니다. 만약 ABC라는 문자열이 안에 없으면 -1을 리턴합니다. 즉, 리턴 값이 -1이 아니면 문자열 안에 특정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다고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의 리턴 값이 -1이면 특정 문자열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확인할 수 있습니다. Output:

Python String의 strip(), rstrip(), lstrip() 함수

String의 strip(), rstrip(), lstrip() 함수는 문자열의 시작, 끝에 있는 특정 문자들을 제거합니다. 기본적으로 문자열의 공백을 제거할 때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처럼 문자열 시작, 끝에 공백이 있는 경우 은 공백을 제거하고 를 리턴합니다. 1. strip() : 문자열 왼쪽, 오른쪽의 특정 문자 제거 은 문자열의 왼쪽, 오른쪽에서 인자로 전달된 문자/문자열을 제거합니다. 문자/문자열이 반복될 때 반복되는 문자들을 모두 제거합니다. 처럼 인자를 전달하지 않고 호출하면 문자열의 왼쪽, 오른쪽의 공백을 제거합니다. Output: 2. rstrip() : 문자열 오른쪽의 특정 문자 제거 은 오른쪽의 문자들만 제거합니다. 는 오른쪽의 공백만 제거합니다. Output: 3. lstrip() : 문자열 왼쪽의 특정 문자 제거 은 왼쪽의 문자들만 제거합니다. 는 왼쪽의 공백만 제거합니다. Output:

Python 문자열을 리스트로 변환

파이썬에서 1개의 문자열을 어떤 기준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문자열을 리스트에 저장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문자열을 리스트로 변환하는 다양한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split()으로 문자열을 분리하고 리스트에 추가 는 문자열을 구분자(delimiter)로 분리합니다. 그리고 분리된 문자열들을 리스트에 저장하고 리턴합니다. split을 이용하면 문자열을 와 같은 구분자로 분리하고, 분리된 문자열을 리스트로 만들 수 있습니다. Output: 만약 에 구분자를 입력하지 않으면 기본 값으로 whitespace가 사용됩니다. 아래 예제를 보면 는 whitespace로 문자열을 분리하고 있습니다. Output: 2. 문자 1개씩 분리하여 리스트에 추가 은 문자열 str을 문자 1개씩 분리하여 리스트로 만듭니다. Output: 3. slicing으로 특정 범위의 문자들을 분리하여 리스트에 추가 slicing은 문자열에서 특정 범위의 문자열을 잘라서 가져오는 것입니다. 는 index 0을 …

Python 문자열 추출 (slicing, split)

어떤 문자열에서 문자열 일부분만 잘라서 추출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필요한 문자열의 Index를 알고 있다면 문자열 슬라이싱으로 부분 문자열을 추출할 수 있습니다. 또는 특정 기호(구분자)로 문자열들이 구분되어있다면, split()을 사용하여 구분자를 기준으로 문자열을 자르고 필요한 부분만 추출할 수 있습니다. 1. 문자열 슬라이싱으로 문자열 추출 문자열 슬라이싱은 의 형태로 추출하려는 문자열의 시작 Index와 마지막 Index를 입력하여 원하는 문자열을 추출할 수 있습니다. 문자열을 추출할 때 start Index의 문자열은 포함되고, stop Index의 문자열은 포함되지 않고 바로 이전 Index까지만 추출합니다. 아래와 같이 원하는 문자열을 잘라서 추출할 수 있습니다. 처럼 시작 Index를 생략할 수 있는데 와 동일한 의미이고 첫번째 문자부터 추출 문자열에 포함됩니다. Output: 1.1 슬라이싱으로 문자열 뒤에서 추출 는 문자열의 뒤에서 5번째 Index부터 문자열…

Python sum()으로 리스트, 튜플 합 계산

Python의 함수는 사용하여 리스트, 튜플 등, Iterable 객체가 갖고 있는 모든 요소의 합계를 계산하고 그 결과를 리턴합니다. 1. sum(iterable) 은 인자로 iterable 객체를 받으며, iterable의 모든 숫자를 더한 결과를 리턴합니다. 리스트, 튜플 모두 iterable이라서 sum()으로 모든 요소들의 합계를 구할 수 있습니다. Output: 딕셔너리의 경우, 딕셔너리의 keys나 values는 iterable이기 때문에 sum()으로 합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Output: 2. sum(iterable, start) 에 인자로 iterable과 함께 start를 전달하면, start와 요소들의 합을 더한 값을 리턴합니다. 즉, 0부터 요소들의 합계를 더하는 것이 아니라, 초기 값 에 요소들의 합을 더합니다. start 요소를 입력하지 않으면 디폴트 값 0으로 설정됩니다. Output: 3. 숫자가 아닌 요소를 더할 때 발생하는 에러 리스트나 튜플에…

Python 데이터 타입 확인, 비교

파이썬에서 어떤 객체(데이터, 자료형)의 Type이 궁금할 때, 타입을 직접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또한 객체의 타입이 어떤 타입과 같은지 비교할 수도 있습니다. 1. type()으로 변수의 type 체크 는 인자로 전달된 object의 타입을 리턴합니다. 아래와 같이 다양한 자료형의 타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Output: 2. if와 type()으로 변수의 type 비교 은 object의 타입이 인자로 전달된 type과 같을 때 true가 됩니다. 아래와 같이 if와 type()를 이용하여 타입 비교를 할 수 있습니다. Output: 3. if와 isinstance()로 변수의 type 비교 는 object의 타입이 인자로 전달된 type과 같을 때 true를 리턴합니다. 또한, object가 type의 subclass일 때도 true가 리턴됩니다. 아래와 같이 if와 isinstance()를 이용하여 타입 비교를 할 수 있습니다. Output:

Python 작업 디렉토리(Working directory) 확인 및 변경

파이썬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프로그램의 현재 디렉토리를 작업 디렉토리(Working Directory)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상대 경로로 어떤 파일을 만들 때, 작업 디렉토리 아래에 파일이 생성됩니다. 1. 작업 디렉토리 확인 파이썬에서 작업 디렉토리는 로 얻을 수 있습니다. 또는 와 를 이용하여 얻을 수 있습니다. 는 실행 중인 파이썬 파일을 의미하는데, 로 이 파일의 실제 경로를 얻을 수 있고, 로 상위 폴더의 경로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 상위 폴더의 경로가 작업 디렉토리 경로가 됩니다. Output: 1.2 ’file’ 의미 는 현재 실행 중인 파이썬 프로그램의 실행 파일입니다. 다음과 같이 파일 이름, 실제 경로, 절대 경로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Output: 2. 작업 디렉토리 변경 는 작업 디렉토리를 변경합니다. 변경 후, 로 작업 디렉토리를 확인해보면 패스가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Output: 3. 작업 디렉토리의 하위 파일 리스트 는 인자로 전달된…

Python 문자열을 정수(실수) 변환

은 숫자이지만 int나 float 타입이 아니라, String 타입의 객체입니다. 만약 다른 int 타입의 객체와 덧셈 등의 연산을 하려면 문자열을 int 타입으로 변환해야하는데요. 숫자로 구성된 String을 int 또는 float 타입으로 변환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1. int() : String to int 는 문자열을 파싱하여 정수를 int 타입으로 변환합니다. Output: 문자열의 숫자가 정수가 아닌 실수라면, 파싱 중에 아래와 같이 에러가 발생합니다. Output: 2. float() : String to float 은 문자열을 파싱하여 실수(float)를 float 타입으로 변환합니다. Output: 3. 실수(float) 문자열을 int로 변환 과 를 사용하여 실수 형태의 문자열의 먼저 float으로 변환하고, 그 다음에 int 타입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최종적으로 변환되는 타입이 int이기 때문에 float에서 소수 부분은 모두 제거됩니다. Output:

Python 문자열을 바이트로 변환

네트워크를 통해 바이트 형식으로 전달하거나 또는 파일에 바이트 형식으로 저장하기 위해 문자열을 바이트로 변환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문자열을 바이트로 변환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1. bytes()로 string을 bytes로 변환 는 encoding 방식의 문자열을 bytes로 변환합니다. 의 문자열이라면 아래와 같이 바이트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Output: 2. encode()로 string을 bytes로 변환 는 encoding 방식의 문자열을 bytes로 변환합니다. 의 문자열이라면 아래와 같이 바이트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Output: